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Technology

(10)
[Kubernetes] Node와 Pod의 차이 쿠버네티스(Kubernetes)는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으로, 대규모의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쿠버네티스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두 가지는 노드(Node)와 파드(Pod)입니다. 이 둘은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기본 구성 요소로 사용되며, 각각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노드(Node): 노드는 클러스터 내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물리적인 또는 가상의 서버입니다. 노드는 클러스터의 작업자(Worker)로서 역할하며,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관리하는 주체입니다. 각 노드에는 컨테이너 런타임(예: Docker)과 쿠버네티스 에이전트(Kubelet)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노드는 클러스터 내에서 컨테이너를 실행할 수 있는 물리적인 자원(예: CPU, 메모..
[AWS] Elastic Beanstalk - Linux 플랫폼 확장 AWS Elastic Beanstalk Linux 플랫폼은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실행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기능을 기본적으로 제공합니다. 필요한 경우 여러 가지 방법으로 플랫폼을 확장하여 옵션을 구성하고,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파일 및 시작 명령을 추가하고, 빌드 및 런타임 지침을 제공하고, 환경의 Amazon Elastic Compute Cloud(Amazon EC2) 인스턴스에 대한 다양한 프로비저닝 단계에서 실행되는 초기화 스크립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Buildfile 및 Procfile Procfile 애플리케이션을 시작하고 실행하기 위한 사용자 지정 명령을 지정하려면 애플리케이션 소스의 루트 디렉터리에 Procfile이라는 파일을 배치합니다. 파일 이름은 대/소 문자를 구분합니다. Pro..
[Django] Gunicorn - Threads Gunicorn은 평소에 쓰던 WSGI( Web Server Gateway Interface )이다. WSGI의 종류에는 uWSGI, Gunicorn 등등 많지만, 그 중에서도 가볍고 더 빠른 gunicorn을 사용하게 되었다. Procfile에 쓰여져 있는 프로세스 Gunicorn 명령어에서 못 보던 옵션을 보았다. 바로 --threads 이다. blog.winterjung.dev/2018/04/08/flask-concurrency-test gunicorn으로 flask에서 동시에 여러 요청 처리 flask 앱 내부적으로 blocking 작업이 있다고 할 때, A 클라이언트가 해당 API를 호출하면 B 클라이언트 요청은 A의 요청이 다 처리될 때 까지 기다린 후에야 처리되기 시작한다. 때문에 외부 AP..
[Ubuntu] pip2와 pip3 모두 설치하기 Stylegan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tensorflow 1.x이 필요하다. 그러나, python3와 pip3가 최신 버전이라서 설치하기 가장 쉬워서 나의 Ubuntu - WSL에 설치되었다. 그래서 python 2.x와 pip2를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하는 방법은 아래 링크에 있다. linuxize.com/post/how-to-install-pip-on-ubuntu-20.04/ How to Install Python Pip on Ubuntu 20.04 Pip is a tool for installing Python packages. This guide explains how to install pip for Python 3 and Python 2 on Ubuntu 20.04. linuxize.com
[RabbitMQ] EC2에 RabbitMQ 서버 만들기 Django 서버에서 인공지능 추론을 하기 위해 Auto Scaling을 설정하였습니다. Celery Broker를 별도로 셋팅하여야 하기 때문에 EC2 인스턴스로 분리하였습니다. Celery Broker는 일반적으로 RabbitMQ를 기본값으로 하기 때문에 RabbitMQ를 선택하였습니다. Creating EC2 Instance of AWS AWS에서 EC2를 Ubuntu 기반으로 생성합니다. 프리티어인 t2.micro 사이즈로 생성합니다. 보안그룹 설정 단계에서 22, 5672, 15672 포트를 위치 무관으로 열어줍니다. 22: SSH Port 5672: AMQP Port 15672: RabbitMQ Manage Console Port Installing RabbitMQ 다음 명령어로 SSH로 EC..
[Ubuntu] apt update && apt upgrade 우분투에서 패키지를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많은 분들이 우분투를 배울때 자연스럽게 따라치던 명령어입니다. 리눅스에서 새로운 시스템을 설정하거나 설치할때 보통 패키지를 최신으로 업데이트 부터 합니다. ● 1. apt update 명령어 (구 버전 : apt-get update) 이 명령어는 패키지들의 버전을 살펴보고 실제로 설치 하지 않습니다. 해당 패키지의 최신 정보를 리눅스상에 기록하게 합니다. upgrade를 하기 위해서는 이 명령어가 먼저 실행되야 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 2. apt upgrade 명령어 (구 버전 : apt-get upgrade) 실질적으로 패키지들을 저장소로 가져와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전에 update 명령어로 최신버전에 대한 정보를 가져와야 업그레이드가..
[SQL] 속성(Attribute)의 이해 1. 속성(Attribute)의 개념 사전적인 의미로는 사물의 성질, 특징 또는 본질적인 성질, 그것이 없다면 실체를 생각할 수 없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질적 속성이란 어떤 사물 또는 개념에 없어서는 안 될 징표의 전부이다. 이 징표는 사물이나 개념이 어떤 것인지를 나타내고 그것을 다른 것과 구별하는 성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사전적인 정의 이외에 데이터 모델링 관점에서 속성을 정의하자면,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인스턴스로 관리하고자 하는 의미상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로 정의할 수 있다. 업무상 관리하기 위한 최소의 의미 단위로 생각할 수 있고, 이것은 엔터티에서 한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속성의 정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업무에서 필요로 한다. 의미상 더 이상 분..
[Docker] Nvidia-docker VS docker run --gpus all GPU를 활용가능한 도커 컨테이너들을 관리하기 위해 nvidia가 만든 nvidia-docker가 명령어가 기존의 docker 커맨드에 통합되어 가는 것 같다. 기존에 cpu 버전은 docker 명령어로 gpu버전은 nvidia-docker 명령어를 사용했는데 최근 (2019년 11월 현재 기준) 다시 서버를 세팅하면서 보니 docker 버전에 따라 다르지만 점차 docker 명령어의 태그 표현으로 사용할 수 있게 바뀌었다. docker를 설치하고 나서 nvidia-docker를 설치하고 나서 보니 nvidia-docker 명령어가 아예 없어서 처음엔 설치가 잘못된 것을 의심했는데 그게 아니었다. 1. Starting a GPU enabled CUDA container; using --gpus $ doc..

728x90
반응형